분류 전체보기
-
KT의 공유기 사용 탐지카테고리 없음 2007. 7. 31. 01:45
신문에서 KT에서 공유기 사용을 탐지하여 추가 요금을 부과 한다는 기사를 보았다. 그 기사를 보면서 과연 어떻게 공유기 사용을 탐지하는지 궁금했었는데, 생각밖으로 간단항 방법을 사용하였더군... 여기에 자세한 얘기가 있는데, 그 내용은 패킷 변조를 통해 임의의 java applet을 실행 시키고, 그 applet에서는 Socket.getLocalAddress()를 통해 local 의 ip를 얻어오고, 그 ip를 KT의 서버로 전송하고.. KT에서는 전송된 ip가 그것을 보낸 ip(공유기)와 같은지 확인하여 같지 않다면 공유기를 사용한다고 판단하는 방식이다. 이런 저런 회피 방법들에 대한 논의들이 있던데, 피할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일단 냉장이글루님이 말씀하셨듯이, 패킷 변조 자체가 불법이다. KT..
-
refcards.com카테고리 없음 2007. 6. 11. 20:33
http://refcards.com/ 각종 quick reference 만을 모아 놓은 site 이다. google adsense의 덕택으로 보이는 일들중 하나인데, 각종 reference를 잘 정리해 놓은 site들이 꽤 보인다.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해야 하나... 하여간, 저곳에서 볼 수 있는 reference 목록은 다음과 같다. 저 곳에서 모두 만든것 같지는 않고 여기저기서 줏어 모은듯 하지만, Quick Reference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그래도 고맙네.. AMSLaTeX Quick Reference Card AMSTeX Quick Reference Card ANSI C Quick Reference Card Apache 1.3 Quick Reference Card ASN.1 Reference ..
-
웹접근성카테고리 없음 2007. 6. 7. 12:37
웹접근성이라는 말이 또다른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그들(웹접근성을 주장하는)이 접근성에 관심이 있어서가 아닌, 웹 표준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포석인 것으로 보인다. 웹표준을 강요하다 보니, 마땅한 근거가 없었다. 웹표준의 유일한 이유는 예전에 얘기했듯이 기계가 처리하기 힘들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 기계로 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것...... 중 쉽게 장사하기 위해서가 아닌 실제 사용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근거가 바로 웹 접근성이었던 것이다. 내가 필요하진 않지만, 그 필요성을 부정할 수는 없는... 하지만, 웹 접근성을 얻어내자니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진 상황이 되었다. 단지 웹표준을 지키는 것 만으로는 접근성 확보가 힘들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듯하다. 결론은, 웹접근성이라는 이름으로 웹표준을..
-
google meshup editor카테고리 없음 2007. 6. 1. 17:07
Google meshup editor yahoo pipe 와 ms popfly에 이어서 google meshup editor가 나왔다. pipe나 popfly에 비해서 UI의 비중은 상당히 약하고 모든것을 scripting으로 해결하려는 접근이다. 장점은? 일단 위에 툴을 올릴 수 있겠지.. google meshup editor api를 준비하고, google meshup xml code를 google쪽으로 동적으로 날려서, web page를 편집해서 긁어 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것이란 얘기다. 그렇게 될 경우 저작권 문제로 또 한번 복잡하고 시끄러워 질 듯하다. 현재 google에서 상용으로 서비스 하고 있는것은 크게 두가지이다. 한가지는 google search를 통한 adwords, 나머지 한가..
-
google blocking카테고리 없음 2007. 5. 31. 09:48
좀전에 있던 일이다. 무슨일이 있는지는 몰라도 해외 네트웍이 대부분 접속이 되지 않았다. google.com, yahoo.com... 하나도 접속이 안되었다. 약 십여분간... 그런데, 문제는 adsense를 달아 놓은 site들이 하나같이 이상동작을 보인다는 것이다. adSense 광고 로딩을 위해 로딩이 멎어 버리는 문제다(정확히는 광고 로딩을 위한 javascript의 로딩에서). adsense script의 loading부분에서 멎어 버리니 화면의 일부분만 보여주고 멎는 상태가 되어버린다. adSense script를 좀 손봐서, 완전 async하게 loading하도록 수정할 순 없는걸까? javascript 자체도 async한 loading을 하도록 말이다. 사용자가 copy해 넣어야 하는 양이..
-
ENSO the QuickSilver for Windows카테고리 없음 2007. 5. 21. 01:29
데모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QuickSilver의 짝퉁이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며, 특이한 점은 mac의 UI를 개발했고, UI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Jeff Raskin의 아들인 Aza Raskin이 개발한 것이라는 것이다. UI 의 아버지의 아들이면.. UI인데.. 아버지 이름에 먹칠하지 않았으면 한다. 비록 짝퉁으로 시작하긴 했지만, 가야할 방향은 잘 잡은 듯 하니.. 기대하고 지켜봐야 겠다. 이 바닥도 어느정도 역사라는 것을 가지기 시작하는지 2세대들이 여기저기서 나타나기 시작하는군.... 구 세대에서는 숨겨진 기술의 전수 때문에 가능했었던 일이지만, 이젠 불가능하리라고 생각했던 일인데... 의외로군....
-
valgrind for macosx카테고리 없음 2007. 4. 30. 13:09
memory validator 인 valgrind가 mac 용으로 결국 포팅되었다는 소식이다. 포팅은 완료되어 웬만한 규모의 소프트웨어는 검증해 볼 수 있다고 하지만, apple 내부의 법적인(직원이 working time에 포팅을 한 모양이다)문제로 인해 릴리즈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레오퍼드가 나오길 기다려야 할 이유가 한가지 늘은 걸까? DTrace jdk6 valgrind iPhone 에 넣은 osx engineer.. 좀 빼주지? mac user들 목빠져서 도망가기 전에...
-
adobe apollo 의 소스코드 일부가 공개되었다.카테고리 없음 2007. 4. 29. 05:24
알려진 대로 webkit을 구 engine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open source 정책에 따라 어쩔수 없이 공개한 것이긴 하지만, 이렇게 일찍 공개할 필요까지는 없는데, 기특하게도 공개를 해 주었다. 한가지 불만이라면 perforce라는 불편한(이라고 쓰고 익숙하지 않은 이라고 읽는다) 툴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보통 cvs나 svn을 사용하는데 왜 perforce를 사용했는지는 알수 없다. 내부적으로 오래전부터 써오던 툴이거나, 진입장벽을 높이려고 한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알려진 바로는 windows용에서는 cairo를 drawing engine 으로 사용하고, mac에서는 core graphics를 drawing engine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그외의 주변 라이브러리를 어떻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