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레오파드를 설치하다.카테고리 없음 2007. 11. 2. 01:00
당연히 모든걸 귀찮아하는 나로써, 백업따위는 필요 없고 그냥 업그레이드를 했다. 업그레이드를 걸어 놓고 기다리기 귀찮아서 잠을 자고..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 보니 책상위의 아이맥이 푸르딩딩한 화면에 아무것도 없고 커서만 덜렁 있는게 아닌가. 화면 어느 구석을 클릭해도 반응은 없고.. 음.. 설치하다가 뭔가가 잘못된 모양이군.... 하는 생각을 하면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서너번 재부팅을 시도해 보았으나 역시 마찬가지로 푸르딩딩한 화면에 커서만 덜렁..... 데이터 날렸다는 생각에 내 마음은 철렁... 구글링을 좀 해 보니 Application Enhancer 라는 놈이 문제란다. Application Enhancer를 설치해 놓았으면 uninstall을 하고 업그래이드 해야 한다고 한다. 혹시 나처럼 그냥..
-
레오퍼드에 은근슬쩍 추가된 기능...카테고리 없음 2007. 10. 18. 03:06
mac osx 10.5 레오퍼드에 추가된 기능 300개.. 목록을 훓어보다 보니.. 놀라운 내용이 보인다. TextEdit 부분에 "Take advantage of TextEdit support for the Word 2007 and OpenDocument formats for reading and writing." 라는 말이 끼어들어가 있다.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이.... 얼마전에 open document format으로 싸움질 하던 두가지 포멧, open document format과 word 2007 format.. 어느쪽 편을 들기 전에 그냥 영쪽 다 구현해서 릴리즈 해 버리는 저 태연함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
mac osx 10.5 레오파드는..카테고리 없음 2007. 10. 16. 00:47
과연 유니버셜 바이너리의 한 포멧으로 llvm을 가질것인가가 궁금하다. 이미 두번의 cpu 변경을 겪은 apple로써는 architecture 변경이라는 것이 얼마나 만만치 않은 일이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일인지를 뼈저리게 느꼈을 것이고 그 비용 투입을 다시는 하지 않으면서도 특정 cpu 벤더에 의존적이지 않은 방안을 찾으려고 할 수 밖에 없는데, 거기에 딱 맞는 솔루션이 바로 llvm이다. 이미, iPhone의 native binary는 llvm은 아니지만, llvm-gcc를 사용해서 빌드를 한 것으로 봐서 osx 전체를 llvm-gcc로 빌드하는데에 큰 문제는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레오파드에는 포함 되리라고 짐작되는데.. 일정이 부족하다면.. 빼고 출시해도 욕할 사람은 없겠지만, 잡스는..
-
REST as a Object Model카테고리 없음 2007. 10. 7. 00:04
공휴일이라 집에서 쉬다가 REST 가 어떤건지 궁금해져서 문서를 읽어보기 시작했다. 표기법의 정리인 것으로 느껴졌다. 저자는 아니라고 주장하지만(아니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고,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라고 했던거 같다), REST는 Web distributed persistant object model.. 이라고 불리는게 마땅할 듯 하다. 단지 표기법의 정리로 폄하하는 것이 아니고, C에서 사용되던 function(object, arg1, arg2) 형태의 객체지향이, C++에서 object.function(arg1, arg2) 형태의 표기법으로 바뀐것과 마찬가지의 훌륭한 대안이라는 것이다. 뭔소린지 정리하기 위해 그림을 한장 그려 보았다. 위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remote(server)의 데이터..
-
valgrind for macosx카테고리 없음 2007. 9. 16. 01:42
이전에 적은 Valgrind for mac... 이.. 때가 지났는데 소식이 없어서 뒤져보니.. 역시 레오퍼드에 같이 묶여서 나오는 모양이다. 여기에.. 담당 엔지니어가 소식을 흘리고 있는다. 그냥 알려진것 말고도 이것저것 꽤 많이 포함되서 나올 모양이다. 긴가 민가 하고 있는 유니버셜 바이너리의 cpu에 llvm 이 추가될지에 대해서는 아직 소식이 안들려 오는군.. 이미 두번의 깔끔한 CPU migration에 성공한 apple에서 그 엄청난 비용과 문제점들을 고려해서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듯 한데.... 이름은 untimate binary라고 붙이려나? universal 이라는 원대한 이름을 너무 일찍 써서.. 꼭 드래곤볼 처럼 우주로 날아간 이후에서 스토리 진행은 시켜야 하니 황당한 이름이 되버리..
-
구글 스프레드 쉬트에 추가된 기능카테고리 없음 2007. 9. 7. 02:37
google docs는 사파리를 지원하지 않아서 안쓰고 있었는데, google spreadsheet에 web data 를 import할 수 있는 기능이 생겼다고 한다. 여러모로 쓸모가 많을 듯 해서 한번 정리해 둘 필요가 있을 듯 하다. 웹에서 data 를 가져오는 방법은 수식편집기능을 이용하는데, =importXML("URL", "XPath expression") : XPath 를 만족하는 node들을 가져온다 =importHtml("URL", "tagname", index) : html 문서에서 특정 level에 있는 tag들의 contents를 가져온다 =importData("URL") : 웹에 있는 CSV나 TSV를 import한다. =GoogleReader(URL) : RSS feed를 가져온다..
-
개인정보....카테고리 없음 2007. 9. 1. 01:59
레퍼러라는 놈이 있다. 어떤 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했는지 웹서버로 그 링크가 있는 주소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HTTP spec에 들어간지는 꽤 되는거 같은데 존재조차도 모르고 있다가 그 존재를 알게된지 얼마 되지 않았다. 평소에 스토킹을 즐기는 나로써는 여간 신경쓰이는 것이 아니다. (음.. 실제로 즐기는지, 말 되게 쓰다보니 즐긴다고 우기는 건지는 모르지만...) 웹브라우저에 따라서는 플러그인으로 레퍼러를 보내는 기능을 꺼주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브라우저에는 기본적으로 레퍼러 전송을 막을 방법이 없다. 분명히 HTTP 스펙에도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URI에 포함될 경우에는 전송하지 말아야 한다고 되어 있다. 음 못믿으시는 분은 여기를 보면 "The Refer..
-
P2P, ISP....카테고리 없음 2007. 8. 24. 01:52
얼마전에 양평 경찰서에서 P2P로 포르노를 다운받은 사람들을 소환했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KT에서 packet 분석을 해서 포르노를 다운받은 사람들 목록과 패킷을 경찰서 측으로 넘겼다는 얘기인데.. KT가 망하기로 작정하기 전에는 그런 짓을 했을리 없어 보인다. 모르지.. 정말 망하기로 작정을 하고 했을지도.. 하여간, 이런일이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닌 모양이다. 미국에서도 컴캐스트(미국에서 거의.. 가장 큰 케이블망을 가진 회사)에서 BitTorrent seeding을 막았다고 난리가 난 모양이다. 다른 ISP들은 BitTorrent에 대한 트래픽의 상한을 지정하는 정도 선에서 끝냈다는데, 유독 컴캐스트는(그리고 캐나다의 코기토와 로거라는 ISP) 한술 더떠서 Sandvine이라는 회시사의..